중국 해외 의료관광시장, 주소비층 변화를 공략하라? 이현욱 중국 선양무역관
- 중국 내 증가하는 해외 의료관광 수요에 상응하는 서비스 필요 ?
- 주 소비층 변화에 발맞춘 해외 의료관광 플랫폼 개발해야 ?
□ 中, 해외 의료관광 수요 폭증
ㅇ 선진적 의료기술, 더 좋은 서비스, 또는 풍부한 관광 자원 체험을 위해 국외에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려고 하는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음.
- 중국 산업 정보망(中???信息?)의 2016년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해외 의료관광 중개업 시장 규모는 2012년 기준 2억1000만 위안에서 2015년 15억6000만 위안으로 급성장한 것으로 나타남.
- 2012~2014년 중국 내 해외 의료관광 시장규모는 연평균 140% 성장했으며, 의료관광 중개 시장은 연평균 185%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 해외 의료관광 중개시장의 총 규모는 2012년부터 2015년 742.85% 성장한 것으로 나타남. 동 기간 중국 구매력평가 기준 1인당 GDP가 약 9140달러에서 1만4100달러로 기존의 52.26%가량 증가한 것과 비교할 때, 본 수치는 소비력 증가보다 10배 이상 빠른 속도로 해외 의료 중개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을 나타냄.
□ 중국 해외 의료관광 시장 발전 현황
ㅇ 개인 소득 증대와 동시에 의료비용 지출 또한 증가하는 추세임.
- 1991년부터 2013년 사이 연평균 의료비용 증가율은 17.49%였으며, 전문가들은 1인당 GDP 성장률의 2배를 상회하는 성장세가 향후에도 계속될 것이라 전망하고 있음.
- 해외 의료관광 인원 수도 매년 증가 추세로, 2006년 약 2000만 명이었던 해외 의료관광객은 2012년에 4000만 명으로 200% 성장했음. 동 수치는 2015년 6912만 명으로 집계됨.
* 동일인 재출국 시 중복 집계 가능
ㅇ 국내 의료 환경에 대한 불신, 중병은 해외로 나가는 문화가 조성됨.
- 국가 암센터 전국 종양 예방 치료 연구소(?家癌症中心全??瘤防治?究?公室)의 2014년 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암환자 5년 생존율은 30.9%임. 이는 의료 선진국과 비교할 때 큰 격차가 나는 수치로, 미국의 암환자 5년 생존율이 2013년 기준 66%인 점을 고려할 때, 본 격차는 중국과 의료 선진국 사이의 의료 기술 격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수치임.
- 간단한 질환은 자국 의료를 이용해도, 생존율이 낮은 중병(重病)은 해외 의료를 이용하는 추세가 형성됨.
- 즈옌 데이터 센터(智??据中心)의 2015년 보고서에 따르면, 국외 의료 소비자의 70%는 종양, 20%는 심혈관, 신경 계통 질환, 7%는 골격계 질환을 이유로 해외 의료기관을 방문했다고 함.
ㅇ 해외 의료관광에 대한 중국 내 제도적 지원도 꾸준히 발표되고 있음.
- <2016년 중국 해외 의료관광 시장 전문 연구 보고(2016中?海外??旅游市????究?告)>에 따르면, 중국 정부의 정책적 유도가 해외 의료시장 성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남.
의료관광 발전 관련 정책
2010년 | - 국가 개발 개혁위(?改委) 명의의 <사회자본 의료기구 투자 유도에 관한 의견(?于?一步鼓?和引?社??本????机?的意?)>은 의료기구 대외 개방을 위한 외국 자본의 의료기관 투자를 허가함. |
2013년 | - 국무원 명의의 <헬스케어 산업 발전 촉진에 관한 의견(?于促?健康服???展的若干意?)>은 건강 문화와 여행 중흥을 위해 관련 시장 촉진을 위한 조치를 내놓음. |
2014년 | - <관광업 개혁 발전에 관한 의견(??院?于促?旅游?改革?展的若干意?)>은 의료 여행서비스 표준을 제시함. |
자료원: 2016년 중국 해외 의료시장 전문 연구 보고
ㅇ 의료관광시장 발전 속, 해외 의료 중개시장 또한 꾸준히 발전하는 추세임.
- 해외 의료 중개란 해외 의료기관 이용에 익숙하지 않은 소비자들의 시설 및 서비스 이용을 지원해주는 것으로, 번역 위주의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전통적 의료 중개업부터 귀국 후 사후 의료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중개업까지 해외 의료 중개란 이름 아래 다양한 업태가 존재함.
- 해외 의료 중개의 업태는 의료 서비스 수혜 과정 개입 정도에 따라 나뉘어지며, 중국 내 해외 의료 중개 업체는 소비에 개입하는 정도에 따라 ‘페이전(陪?)’, ‘좐전(??)’, ‘신형 의료 서비스 기구(新型??服?机?)’로 나뉨.
분류 | 특징 | 소개 | 업태 수 |
페이전 | 단순 예약 제공 | - 단순히 환자와 국외 병원의 연락, 번역을 도움. - 주로 여행사가 기존 상품과 연결해 서비스하고 있으며, 개인화된 서비스는 없음. | 가장 많음 |
좐전 | 해외 병원 인도 | - 페이전에 비해 전문적이나 서비스에 한계가 있음. - 또한, 예약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비용도 상대적으로 비쌈. - 대다수의 경우, 국외 소재 의료 기관이 아닌 중개 업체와 협약을 맺고 있음. | 적음 |
신형 의료 서비스 기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