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관광자료실 | 한네트워크" /> 의료관광자료실 | 한네트워크" /> 의료관광자료실 | 한네트워크"> "의료관광 목적지 국가 한국, 성공하려면 마케팅 재설계" > 의료관광자료실 | 한네트워크
의료관광 자료실

"의료관광 목적지 국가 한국, 성공하려면 마케팅 재설계"

작성자 관리자2
작성일 18-05-12 07:20 | 1,442 | 0

본문

"의료관광 목적지 국가 한국, 성공하려면 마케팅 재설계"
진기남 교수 "병원보다 고객의 가치에 초점 맞춰야"     ?
     
?한국 의료관광은 지난 2009년 출발해 8년 새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뒀다. 국내·외 전문가들의 평가다. 하지만, 의료관광의 포괄개념인 건강관광의 목적지 국가로서 성공하려면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

239738_1.jpg

진기남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교수는 9일부터 11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메디칼코리아(MEDICAL KOREA 2018)' 행사 마지막 날인 11일 '외국 전문가 시각의 의료관광 목적지로서 의 한국'에 대한 세션을 직접 마련했다.

이번 세션은 외국인환자 유치를 위한 의료서비스 질관리 일환으로 의료 브랜드 구축과 온라인 홍보 마케팅 실무 전략을 중국, 일본, 미국 등의 연자로부터 듣는 시간이었다.

이날 진 교수는 한국은 의료관광의 후발주자 이지만, 의료 서비스와 품질면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배경에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한몫 하기도 했다.

진 교수는 "싱가포르 정부는 의료관광 초기에는 적극적으로 지원하다가 정부의 개입을 축소했다. 시장이 개별 경쟁력을 갖춘 만큼 정부 개입이 필요없다고 판단 한 것"이라며 "정부 또한 새로운 수입원을 찾기 위해 의료관광에서 바이오산업으로 초점을 옮겨 지원하고 있다"고 했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 의료관광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개입을 줄이고, 병원들이 수술, 시술만을 위한 해외환자 유치 전략에서 벗어나 병원 또는 지역별로 웰니스, 관광 상품을 개발해 건강관광 차원으로 의료관광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진 교수는 "의료관광과 웰니스관광을 합친 개념이 건강관광 헬스투어리즘"이라며 "우리나라가 의료관광 목적지 국가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선 다양한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마케팅 전략도 새로 짜야 한다고 했다. 지금까지 한국 의료관광이 자국의 관점에서 '좋은 서비스', '우수한 의료진', '합리적인 비용' 등을 내세웠는데, 이 같은 마케팅 전략은 환자의 니즈를 생각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진 교수는 "환자들은 외국에서 치료를 받을 경우 결과를 알고 싶어 한다. 또, 의사들이 전문적인지 안전한 의료보건 시스템을 갖췄는지를 궁금해 한다"며 "우리나라 대부분의 병원들은 수술 성공률, 생존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우수한 의료진이 아닌 원장만 내세우고 있다. 바꿔야 한다"고 했다.

특히 최근 아부다비와 쿠웨이트 등의 국가에서 한국 정부와 의료관광 계약을 맺기 위해 '한국의 최고 의사 리스트'를 요청했지만, 국내에서 초기에는 제공하지 못했다는게 진 교수의 설명이다. 이 부분을 개선해야 한다는 것.

의료관광을 오는 환자의 입장에서는 우수한 의료진과 수술 결과 등에 대한 공개를 가장 궁금해 하고, 그 다음이 가격과 인프라, 고객 서비스에 대한 퀄리티가 될 수 있다.

진 교수는 "충분히 한국이 제공해 줄 수 있는 정보다. 외국인환자들이 한국을 방문해야 하는 구체적인 이유를 찾아야 한다. 우수한 의료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의료서비스에 웰니스를 접목시켜야 성공한다"며 "건강관광 여행의 목적지로서 한국의 포지셔닝을 완벽히 하기 위한 전제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의료관광자료실 목록

Total 77
게시물 검색

Categories

Search

Rec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