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Plus

마을 미디어 활성화

관리자2 0 2,498

전북지역 티브로드에는 ‘우리동네TV’라는 마을 미디어 콘텐츠가 방영된다.

학원 원장, 사회복지사 등의 직업을 가진 주민들이 만든 마을신문이 방송으로 발전한 것이다.

이들은 직접 기자로 활동하며 지역 문화와 주민들을 소개하고 지역 문제를 다룬다.

우리동네TV는 “시민방송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줬다”면서 2016년 전북 민주언론상 특별상을 받기도 했다. 
 

‘마을 미디어’가 확산되고 있다.

 주민 스스로 미디어를 만들고 정치에 참여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김강수 ‘우리동네TV’ 기자는 “동네소식이나 문제를 보도했을 때 주민들로부터 지지와 지원도 받는다”고 이야기 한다.

?

 부산지역 시민연합 마을미디어연구소장은 “활동을 해 보면 주민들이 30~40년 동안 지역의제에 대해 말을 할 수 있는 미디어가 없어 답답해하던 상황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서울·수원·전북·부산 등 지역 미디어 활동가들로부터 설문조사를 한 결과 가장 필요한 정책적 지원은 ‘법적 근거 마련’이었다.

우선적으로 조례 지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수원시에 ‘수원시 영상미디어센터 설치 및 운영 조례’가 있고 전라북도와 제주도에 ‘마을공동체미디어활성화 지원 조례’가 있을 뿐 다른 지역은 없다.

?
최성은 전주시민미디어센터장은 “상위법의 법적 조항이 없이 조례만 있다 보니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밝혔다. 그는 “전북은 농촌과 도시가 있는데, 해당 조례는 농촌지원과에서 하는 프로그램으로 지정돼 도시지역은 지원을 못하는 점도 한계”라고 말했다. 

?

전북 마을미디어 조례에는 ‘주민들은 자발적 참여와 정치적인 중립을 견지해야 하며, 미디어가 갖는 공익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독소조항도 있다. 최성은 센터장은 “처음 조례를 만들 때부터 정치적 중립을 지킨다는 점을 공무원들이 많이 이야기 했는데, 실제 조례에도 반영됐다”면서 “개정을 추진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정부 중심의 미디어 교육 ‘불통’이 현재진행형이다.

? 

한편 마을 미디어 역시 변화한 미디어 환경에 맞춰 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OTT 환경에 맞는 지원정책 마련

-인터랙티브 다큐멘터리 제작 및 지원의 필요성

-팟캐스트 장르 다양화 및 활성화 등을 강조돤다. 


전북지역  ‘우리동네TV’는 HAN NETWORK를 통해서도 볼수 있다
??
 

Comment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기글 관리자2 01.06 3777
49 전북 '새 천년 도약' 핵심 프로젝트 인기글 관리자2 01.05 2705
48 2018년 달라지는것 인기글 관리자2 01.01 3100
47 걷기 좋고 아름다운 ‘전북 1000리길’ 아시나요? 인기글 관리자2 12.25 3731
46 트렌드 인기글 관리자2 10.31 3295
45 인도의 차별화된 의료관광 인기글 관리자2 10.31 3622
44 ‘웰니스 관광’으로 한국관광 2.0시대 인기글 관리자2 10.11 4952
43 10월의 걷기 여행 인기글 관리자2 10.02 3502
42 원격진료 도입 인기글 관리자2 09.28 2925
열람중 마을 미디어 활성화 인기글 관리자2 09.24 2499
40 김생민의 짠 테크 명언 인기글 관리자2 09.23 3579
39 전북은 지금 축제중 인기글 관리자2 09.22 3114
38 품위있는 그녀 <정상훈> 로마의 휴일 인기글 관리자3 09.05 3104
37 마지막 전주 문화재 야행은 9월 16일에 진행된다. 인기글 관리자3 08.28 2571
36 지구온난화와 에너지위기 대응 홍보 인기글 관리자3 08.28 2983

Categories

Search

Recently